전체 글33 자동차 섀시구성 및 주행시스템-2 4.2 조향시스템 - 가변 동력 조향 장치 배력 비가 일정한 동력 조향장치에서 저속 시에 필요로 하는 조향력을 작게(가볍게) 설계하면 고속 주행 시에는 핸들이 나무 가벼워진다. 또 고속시에 필요로 하는 조향력을 기준으로 설계하면 조속 주행시에는 핸들이 너무 무거워지게 된다. 따라서 주행속도가 낮을 때에는 유압 배력을 모두 이용하고,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압 배력을 감소시킨다. 즉 조향성 및 주행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고속에서 운전자의 조향력만으로 조향 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노면과의 안정된 접촉 감각을 느끼면서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 형식에 따라서 속도 범위를 몇 단 게로 구분하여 점차적으로 유압 배력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4.2 조향시스템 - 조향원리 1) 애커먼 식 애커먼식 조향 기구.. 2022. 1. 1. 자동차 섀시구성 및 주행 시스템 4.1 개요 주행 시스템은 자동차의 동력 발생 및 구동 시스템을 ㅈ외한 각 기구의 총합으로 조향, 현가 및 제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을 효율적으로 직진 주행 및 진행방향을 조향 시키거나, 필요시 서행 및 정지시키는 데 혹은 자동차가 노면의 충격으로부터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 및 감쇠시키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를 섀시 및 주행장치라고 한다. 4.2 조향시스템 조향시스템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한 장치를 말하며, 다음의 세 가지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1) 조작 기구 : 운잔자가 직접 조향 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다음의 각 기구로 전달하는 부분으로 조향 힐(핸들), 조향축 칼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기어기구 :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해서 조작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조작 기구.. 2021. 12. 31. 자동차 동력전달 및 구동시스템-6 3.5 차체 및 골격 자동차의 주행장치는 새시로부터 엔지괴 동력 전달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각 기구의 결합장치를 총 친한 것으로, 자동차를 주행시키거나 조향 시키거나 혹은 정지시키는 데 필요한 각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즉, 각부를 일정한 관계 위치로 결합시킬 수 있는 섀시 프레임, 노면으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현가장치, 주행 중에 차체의 진행방향을 변경시켜 주는 조향장치 및 주행 중에 차체의 진행을 정지시켜 주는 제동장치 등이다. 주행장치의 각 기구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해서 자동차를 효율적으로 주행시키는 것으로, 승차감이 좋아야 하고 조작이 쉬워야 한다. 또한 어떠한 주행상태에서도 진행방향이 안정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서 조향, 주행 속도의 조절 및 주행의 정지가 자유로워야 한다.. 2021. 12. 31. 자동차 동력전달 및 구동시스템-5 3.4 구동력 및 차동 시스템 1. 구동력 : 변속기의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기 위한 전동축으로 슬립 조인트, 유니버설 조인트 및 추진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슬립 조인트 : 주행 중 자체와 구동부분과의 위치변화에 따라 차축의 길이가 변화하는 데 대해 융통성을 주기 위한 축이음으로 변속기의 출력축과 추진축의 유니버셜 조인트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2) 유니버셜 조인트 : 주행중 차체와 차축의 각도가 변화하는데 대해 융통성을 주기 위한 축이음(자재 이음)으로 변속 조인트와 등속 조인트가 있다. 변속 조인트는 훅형(십자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등속 조인트로서 FF 식 자동차에서는 버필드형이 많이 사용한다. - 십자 이음 : 2개의 요크와 십자축을 연결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므로 FR 식 자동차에 많이 .. 2021. 12. 30.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