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33 자동차 동력전달 및 구동시스템-4 변속기 2) 자동변속기 자동변속기는 변속기의 조작을 사람 대신 기계가 하도록 자동화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유체 클러치와 같이 사용되며, 변속 및 증속 장치로서 유성기어 장치가 사용된다. 자동변속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기어조작을 하지 않으므로 운전하기가 편리하고, 운전자의 피로가 줄어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다. - 기관의 회전력을 유체로 전달하기 때문에 발진, 가속 및 감속이 원활하게 되어 승차감이 좋다. - 유체가 댐퍼 역할을 하기 때문에 회전력 전달 시 노면과 기관으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한다. - 구조가 복잡하고 값이 비싸다. / 연료소비율이 약 10% 정도 많아진다. / 차를 밀거나 끌어서 시동할 수 없다. 자동변속기의 구조는 토크 컨버터(또는 유체 클러치), 유성기어 장치, 변.. 2021. 12. 30. 자동차 동력전달 및 구동시스템-3 변속기는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기관의 회전력을 변화시키고, 자동차의 속도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자동차를 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변속기는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 및 부단 변속기 등이 있으며, 전륜 구동의 경우에는 보조 변속기인 트랜스퍼 케이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변속기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 회전력 증대를 위하여 / 기관의 시동시 무부하 상태로 두기 위하여 / 후진을 위하여 변속기에서 압력에 대한 출력의 속도비(SR)를 변속비라 하며, 이는 감속기어장치의 감속 비와 함께 자동차의 최고속도, 가속 성능, 등판 성능, 연료소비율 등과 같은 주행성능에 직접 관계되며, 기관의 소음과 배출가스에도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는 전진 3~5단, 후.. 2021. 12. 29. 자동차 동력전달 및 구동시스템-2 3.3 전동 및 변속 시스템 1. 클러치 : 엔진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장치로서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며, 마찰 클러치로는 스프링 압력식과 원심 식이 있고, 유체 클러치로는 유체 커플링과 토크 컨버터가 있다. 클러치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 엔진 무부하 상태 / 기어 변속시 회전력 전달을 일시 차단 / 관성운전 1) 마찰 클러치 마찰력을 이용해서 회전력을 전다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보수와 점검이 용이하여 자동차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마찰 클러치는 클러치 본체와 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마찰 클리치의 종류는 건식과 습식이 있으며, 마찰판의 수에 따라 단판식과 다판식이 있다. 자동차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클러치는 건식인데, 마찰면이 건조한 상태로 접촉하여 회전력을.. 2021. 12. 29. 자동차 동력전달 및 구동 시스템 3.1 개요 자동차의 동력 전달 및 구동 시스템은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바퀴까지 전달하는 일련의 장치를 말한다. 동력 전달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엔진에서 주행상태에 따라 기관의 회전력과 속도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변속기 - 추진축의 각도변화에 대응하여 원활한 동력 전달을 하기 위한 유니버셜 조인트 - 변속기에서 종감속기까지 동력을 전달하는 추진축 - 자동차가 선회할 때 좌우 바퀴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양쪽 바퀴에 균등한 회전력을 전달하여 원활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최종 감속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차동장치 - 자동차를 이동시키는 여할을 하는 휠과 타이어 자동차의 바퀴를 구동하는 방법을 전륜구동과 후륜구동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전륜구동의 동력전.. 2021. 12. 28.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