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33

자동차 메카트로닉스 6.1 기계일반 1. 기계요소 차량 및 기계 시스템은 많은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나사, 키, 핀, 축, 베어링, 기어, 스프링 등의 부품들은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 결합용 기계요소 :부품을 결합할 때 사용하는 기계요소에는 나사, 볼트, 너트, 키, 핀, 코터, 리벳 등이 있다. 2) 축용 기계요소 : 동력 전달 부품으로 축을 받쳐주거나 연결하는 기계요소에는 축, 베어링, 축이음 등이 있다. 3) 전동용 기계요소 : 동력을 전달하는 데 사용하는 기계요소에는 기어, 벨트, 체인 등이 있다. 4) 제동 및 완충용 기계요소 : 기계의 운동속도를 감소시키는 데는 브레이크가 사용되고, 충격이나 진동을 방지할 때에는 스프링이 사용된다. 5) 관에 대한 기계요소 : 관은 물, 기름, 증기, 가.. 2022. 1. 17.
자동차 성능,역학 및 설계 5.1 개요 노면을 주행하기 위하여 차량에 요구되는 성능의 기본개념은 주행 시 기계적인 만족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동력 발생 및 전달 장치의 동력 성능 요소 및 운동 성능 요소, 그리고 거주 서능 요소 등을 구분된다. 5.2 성능요소 1. 동력성능 요소 : 동력성능은 동력 발생장치 및 동력 전달장치와 관련된 자동차의 구동 성능 요소이다. 1) 엔진 성능 (1) 성능 선도 동력성능 요소 중에서 엔진의 각 회전 속도에서 최대 출력시의 축 출력, 축 회전력 및 연료 소비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엔진성능 곡선이라 한다. 엔진의 축 출력(ps)은 회전속도(rpm)가 빨라짐에 따라 급속히 증가하나 지나친 고속회전이 되면 흡입 공기량의 관계등으로 연소상태가 나빠져 축 출력은 증가하지 않는다. 축 회전력은 저속이나 .. 2022. 1. 16.
자동차 섀시구성 및 주행시스템-4 4.3 현가 시스템 1) 섀시 스프링 위 진동 섀시 스프링 위 진동 : 섀시 스프링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 윗분의 차체에서 생기는 진동을 말하며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상하 진동 : 차체가 상하로 진동하는 것으로 말하며, Z축방향으로 평행하게 상하 운동하는 고유 진동이다. (2) 앞뒤 흔들림 : 차체의 중심을 지나는 좌우 수평축 주위의 진동을 말하며, Y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고유 진동이다. (3) 가로 흔들림 : 자동차의 세로축 주위의 진동을 말하며,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고유진동이다. (4) 요잉 : 주행 중 차체의 앞부분이 좌우로 진동하는 것을 말하며, Z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고유 진동이다. 2) 스프링 아래 진동 섀시 스프링으로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 아래 부분의 차축과 휠에서 .. 2022. 1. 15.
자동차 섀시구성 및 주행시스템-3 4.3 현가 시스템 - 완충 스프링은 차체와 바퀴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가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충격과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금속제 스프링에는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토션 바 스프링 등이 있고, 그 외에도 고무 스프링이나 공기 스프링 등도 사용하고 있다. 1) 판 스프링 판 스프링은 스프링 강을 띠 모양으로 성형한 스프링 판을 활 모양으로 약간 굽히고 여러 장을 겹쳐서 만든 것으로 겹판이라고 하며, 주 스프링 판의 양쪽 끝을 말아서 핀을 끼울 수 있게 한 스프링 아이가 있으며, 이 스프링 아이 사이의 거리를 스팬이라고 하고 스프링의 휘어진 양을 스프링 캠버라 한다. 주로 대형 자동차나 승용차의 일체식 차축 현가장치에 사용된다. 2) 코일 스프링 코일 스프.. 2022. 1. 1.